우리말

明 心 寶 鑑 (서론)

사랑의고향길 2013. 9. 28. 17:13

明 心 寶 鑑


              

明心寶鑑은 高麗 忠烈王 때 文臣이었던 추적(秋適)이 著述한 것이라고 하며, 원래 繼善, 天命 등 十九 편으로 되어 있던 것을 근래에 와서 어떤 학자가 增補, 八反歌, 孝行, 廉義, 勸學 등 五 편을 增補하여 내용을 補强함으로써 전 二十四 편으로 되어 있다.
善한 자에게는 福을 주고 惡한 자에게는 災殃을 내리는 하늘의 밝은 攝理를 설명하고 자기를 反省하여 인간 本然의 良心을 보존함으로써 崇高한 인격을 陶冶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
五倫三綱을 말함으로써 父子, 君臣, 夫婦, 長幼, 朋友 사이의 인간 관계의 질서를 밝히고 天命을 順從하는 자는 살고 이를 거슬리는 자는 죽는다고 해서 安分守命을 勸誘하기도 했다. 또 時期를 놓치지 말고 부지런히 배워서 학문을 成就하고 큰 사업을 이룩해서 이름을 빛낼 것을 강조하기도 했다
.
여기에 나오는 金 言 들은 개인의 인간 修鍊에서 시작해서, 한 가정을 원만하게 이끌어 나가고, 사회에 참여하며, 국가를 다스리는 문제에 이르기까지 廣範圍하게 그 원칙론을 다루고 있다. 우리는 이 책을 熟讀하고, 그 眞正한 意義를 體得함으로써 몸을 닦고, 뜻을 새우며, 學問을 成就시키고, 무언가 사회와 人類文化에 寄與함으로써 우리의 삶을 豊饒하게 하고, 人生航路를 成功的으로 이끌어 가야겠다. 인생은 가시밭길이란 말이 있다. 또 인간은 社會的 動物이라고 한다. 그리고 사람을 대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이라고 한다. 우리가 사람들 속에 끼어서 삶을 開拓하려면 많은 難關이 앞을 가로막는다. 사람은 여기에서 그 難關을 克服하고 굳세게 살아 나갈 수 있는 방법을 배워야겠다
.
科學文明이 高度로 발달된 오늘날 시대에 있어서 이 책 속의 金 言 들 중에는 시대의 흐름에 맞지 않는 것들이 間或 있을지 모르나 大體的으로 우리가 銘心해서 實踐에 옮길 原則들이다
.
讀者諸賢께서는 이 책을 再三 熟讀함으로써 건전한 인생을 개척해 나가며 앞날의 삶을 복되기 하기를 간절히 바라는 바이다.


1995. 09. 14
資料 編輯者 李鎭夏(lee19858@hanmail.net)

 

'우리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繼 善 篇  (0) 2013.09.28
2. 天 命 篇  (0) 2013.09.28
3. 順 命 篇  (0) 2013.09.28
4. 孝 行 篇  (0) 2013.09.28
5. 正 己 篇  (0) 2013.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