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군, 아차산 최후의 날 |
한반도의 옥새와도 같았던 한강유역 아차산. 한반도 패권을 노렸던 많은 나라들이 이 아차산에서 싸웠고, 이겼고, 패배해서 쫓겨갔다. 그런데 그 동안 이 한강유역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던 고구려의 유물들이 불과 2달 전에 발견되었다. 최초로 발견된 고구려의 투구, 복발이 1500년 동안 침묵을 지키던 고구려의 한강에 얽힌 비밀을 털어놓기 시작했다. |
1. 고구려의 군사요새, 아차산 제4보루성 |
복발이 발견된 한강유역은 한반도를 차지할 수 있는 상징과도 같은 지역이다. 서해 해상권이 걸려있었고, 이를 통해 중국과 교역을 넓히면서 국제무대의 발언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강유역을 둘러싼 고구려, 신라, 백제의 다툼은 치열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제까지 한강유역에서 발견된 고구려 유물은 전혀 없었다. |
2. 고구려군의 중대와 소대 |
5세기 초 죽은 고국원왕의 증손이기도 했던 장수왕은 427년 평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증조부의 원수인 백제를 치기 위해 남하를 시작했다. 그렇게 쌓은 남진 기지가 바로 아차산의 보루성이다. 하지만 이 보루성 뿐이었을까? 보루성이 군사기지로서 존재했었다면, 그와 비슷한 성격의 다른 고구려 유적들 또한 있으리라고 쉽게 추측해볼 수 있다. |
3. 구의동 유적복원 |
삼국사기에 나타난 고구려의 군사들은 3만 기병, 5만 보병식으로 전투에 나섰던 총 병력만 나타나 있기 때문에, 그들이 어떤 세부 단위와 어떤 조직으로 나뉘어져 있었는지 전혀 알 길이 없다. 병사들 생활이라든가 막사의 생김새, 나름대로의 규율은 과연 어떠했을까? 이번에 발견된 유적들을 통해 이런 의문들을 해결할 수 있었다. |
4. 제4보루성 영상복원 |
보루성은 고구려 중대다운 엄청난 크기이다. 특히 중대급 막사는 언뜻 보기에도 100여 명은 충분히 생활할 수 있을 것 같고, 구의동 유적과는 다르게 많은 수의 온돌들이 방마다 한 두 개씩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방에 특히 많이 모여있는 토기들에서는 고구려군 나름대로의 군기와 질서가 보인다. |
5. 무기로 알아보는 군인들의 역할 |
삼국시대의 문헌기록을 보면 고구려 군대는 2만, 3만의 군대가 아무런 체계도 갖추지 않고 싸운 것 같이 되어있다. 과연 이 기록이 사실일까? 서울 구의동 유적의 유물들은 당시 기습을 받아 불에 탄 후 흙속에 묻혀버린 까닭에 마치 아이스박스에 냉동된 듯 몰살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다. 이 모습에서 고구려 군대의 조직체계를 유추할 수 있다. |
6. 삼국의 형세 |
고구려라는 강력한 적을 맞은 백제와 신라는 군사동맹을 맺는다. 고구려는 백제와 신라 깊숙이 들어가 영역을 확장하는데, 나제 동맹이 힘을 발휘하면서 삼국의 전선은 교착상태에 빠진다. 이때의 고구려 최전방 국경선이 한강의 아차산 일대라 추측된다. |
7. 551년 D-DAY |
551년 어느 날 밤, 이곳 구의동 초소는 최후를 맞이한다. 발굴당시 구의동 초소는 토기나 무기들이 이곳 저곳에 널려있고, 심지어는 온돌에 철솥까지 그대로 걸려있는 상태였다.
한반도의 옥새와도 같았던 한강유역 아차산. 한반도 패권을 노렸던 많은 나라들이 이 아차산에서 싸웠고, 이겼고, 패배해서 쫓겨갔다. 그런데 그 동안 이 한강유역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던 고구려의 유물들이 불과 2달 전에 발견되었다. 최초로 발견된 고구려의 투구, 복발이 1500년 동안 침묵을 지키던 고구려의 한강에 얽힌 비밀을 털어놓기 시작했다
1. 고구려의 군사요새, 아차산 제4보루성
4세기 중엽 백제의 전성기 근초고왕때 백제는 고구려의 평양성을 점령하고 고구려의 고국원왕은 전사한다. 그후 5세기초 고국원왕의 증손 장수왕은 427년 평양으로 천도 아차산을 기지로 남진정책을 추진한다. 이당신 삼국의 역학관계는 다음과 같다. 광개토왕때 고구려가 강성해지자 약소군 신라는 고구려편에 붙는다. 이에 백제는 가야, 왜와 연합하고, 가야 왜 연합군이 신라를 공격 점령하나 고구려(광개토대왕)의 원군에 의해 격퇴되고 금관가야는 멸망한다. 고구려는 신라의 왕위계승문제까지 간섭하여 "실성왕"을 죽이고 "눌지"를 왕위에 올린다. 고구려로부터 벗어나려는 눌지왕은 433년 백제와 나제동맹을 맺는다. 신라의 실직성에서 고구려장수가 살해되고, 경주에 주둔하던 고구려군 백여명이 살해되는 사건이 일어나자 신라와 고구려의 관계는 급속히 냉각된다. 이 즈음 백제는 중국 북위에 고구려를 공격하라는 국서를 보내는데, 강력한 고구려를 두려워한 북위는 이를 거절하고 국서는 고구려의 손에 들어간다. 이에 분노한 고구려(장수왕)는 한강을 건너 백제에 쳐들어가 개로왕을 죽이고 한강유역을 차지한다. 이때부터 이름뿐이었던 나제동맹이 실질적인 군사동맹으로 발전되고 70여년간 팽팽한 대치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고구려의 최전방이 아차산이었는데, 551년 고구려의 내분을 틈탄 나제 연합군의 기습공격으로 무너지고, 한강유역을 상실한다. 신라의 한강유역에 대한 욕심으로 나제동맹은 깨지고 백제와 신라의 전쟁이 시작된다. 초반에는 백제군이 승리했으나 군사를 격려하려고 소수의 호위병만을 거느리고 이동하던 백제의 성왕이 신라의 기습공격에 전사하며 전세는 반전되어 백제는 한강유역을 영원히 상실한다. 신라는 언제나 정정당당하지 못했다...
|
'역사스페셜1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조선 최대 정치 이벤트 - 화성 회갑잔치 (0) | 2013.09.28 |
---|---|
5 고려시대, 우리는 로켓을 쏘았다 (0) | 2013.09.28 |
3 발해는 왜 동해를 건넜는가? (0) | 2013.09.28 |
2 고종의 X파일! 군함을 구입하라 (0) | 2013.09.28 |
1 영상복원 - 무용총 고구려가 살아난다. (0) | 2013.09.28 |